학회소식         학계동향

唐代 墓誌銘을 통해 본 고구려·백제 遺民 一族의 동향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481

한국역사연구회·동북아역사재단 공동주최 학술회의



'唐代 墓誌銘을 통해 본 고구려·백제 遺


民 一族의 동향'


 


 


  한국역사연구회(한국고대금석문 검토반, 고대사분과)는 돌아오는 2015년 11월 21일 토요일 오후 1시부터 ‘唐代 墓誌銘을 통해 본 고구려·백제 遺民 一族의 동향’이라는 주제로 연세대학교 위당관 6층 문과대학 백주년기념홀에서 공동주최 학술회의를 진행합니다. 여러 선생님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 일시 : 2015년 11월 21일 토요일 오후 1시
● 장소 : 연세대학교 위당관 6층 문과대학 백주년기념홀
● 주최 : 한국역사연구회 고대사분과 한국고대금석문 검토반, 동북아역사재단
● 후원 : 동북아역사재단



<공동주최 학술회의 취지>

  1917년 나진옥의 芒洛?墓遺文第4編에서 부여융, 고자, 천남생의 묘지명이 수록된 이래, 2015년 후반기에 소개된
고을덕 묘지명에 이르기까지 국내에 소개된 중국 출토 고구려·백제 遺民一族의 묘지명은 총 38점에 달한다. 게다가 중국인으로서 고구려나 백제와의 戰役에 참가하였거나 使行했던 사실을 그 묘지명이나 비석에 일부 기록한 경우들도 다수 나타나고 있어, 문헌에 나타나지 않는 고구려, 백제에 대한 역사상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로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외국 학계의 경우에는 자료집 편찬 이외에는 묘지명 자체에 대한 기초적 검토 및 지극히 한정된 주제로서만 접근해왔으며, 2010년대 이후 가장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졌던 중국 학계에서도 여전히 고구려
·,백제 유민들의 ‘歸屬과 漢化’라는 주제가 반복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국내 연구도 새로운 자료 소개와 그 사료적 가치에 대한 검토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정치제도·사회사와 같은 보다 심화된 주제별 연구 단계로는 나아가지 못한 상태이다. 또한 근본적으로 아직까지 ‘遺民’의 범주와 묘지명의 유형별 분류 방식에 대해도 명확한 기준이 제시되지 못한 상태라고 생각된다. 

  그런데 2015년 9월까지 발견된 총 38점의 고구려
·백제 遺民一族 묘지명을 통해 당으로 간 遺民의 행적들이 추가로 드러나고 있다. 특히 국가 멸망을 전후로 당으로 유입된 유민 1세대만이 아니라 당에서 태어나 자란 그 후손들의 묘지명까지 다수 발견되었고, 그 가운데는 같은 가문의 일족들이 세대별로 남긴 기록들도 발견되었다. 이를 통해 고구려·백제계 가문과 그 일원들이 당 사회에 점진적으로 편입되어 가는 과정을 살펴보고, 일정하게 분류 및 유형화할 수 있는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은 최근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서도 지적되어왔으나, 묘지명이 갖는 자료 해석의 어려움과 그 신뢰성 문제는 연구자 개개인의 노력만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이에 본 학술회의에서는 관련된 여러 연구자들을 초빙하여 지금까지 발견된 묘지명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그 자료적 활용에 대한 나름의 기준을 제시해 볼 계획이다. 

  본 학술회의에서는 唐代 묘지명 연구에 있어서 ‘遺民’의 용어와 범주를 재규정하고, 唐代 묘지명의 연구 현황을 개관할 것이다. 이후 연구자별로 여러 묘지명 자료들을 종합한 주제별 연구 발표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이를 통해 아직까지 기초적인 검토에만 머무르고 있는 묘지명 자료에 대한 연구자들의 활발한 관심과 논의를 이끌어 내고, 중국과 일본 등 외국 연구자들의 한정된 관심 주제도 좀 더 다양화시킬 수 있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 




 


 <학술회의 일정>


● 개회식 (13:00~13:10)                               사회: 정동준(한성대학교)

주제발표


○총론(13:10~13:30) : 唐代 墓誌銘을 통해 본 고구려·백제 遺民 一族의 동향-
································································· 안정준(연세대학교)·최상기(서울대학교)

○제1발표(13:30~14:00) : 唐代 墓誌銘에 나타난 中國起源 高句麗 遺民 一族의 현황과 그 家系 기술
 -고구려,백제 ‘遺民’의 개념과 범주에 대한 제언-
························································································· 안정준(연세대학교)

중간휴식


○제2발표(14:10~14:40): 백제 멸망 이후 ?氏 일족의 위상
 -墓誌와 관련 문헌의 종합적 검토를 통해-
··························································································최상기(서울대학교)


○제3발표(14:40~15:10): 당의 고구려 고지 지배 방식과 유민의 대응
························································································· 장병진(연세대학교)

○제4발표(15:10~15:40): 당 내지의 고구려 유민과 대우
························································································· 이규호(동국대학교)


중간휴식 및 정리

○종합토론(16:00~17:30)

사회: 정병준(동국대학교)

토론자: 정동준(한성대학교), 이성제(동북아역사재단)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