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사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일제강점기 일본인 학자의 신라사 연구에 대한 검토
* 일시 : 2009년 9월 19일(토) 10:30~18:00
* 장소 : 서강대학교 가브리엘관 109호
* 주최 : 신라사학회
* 후원 : 동북아역사재단
모 시 는 글
결실의 계절, 가을을 맞이하여 신라사학회는 ‘일제강점기 일본인 학자의 신라사 연구에 대한 검토’라는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합니다.
신라는 한국 역사상 천년 동안 유지된 왕조로서, 고구려와 백제를 통합하여 찬란한 민족문화의 기틀을 마련하였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신라는 일찍부터 많은 역사 연구자들에게 주목을 받아 왔습니다.
신라 역사문화에 대한 이해는 신라가 멸망한 직후인 고려 초부터 시도되었습니다. 한국고대사 연구의 주요 자료인《삼국사기》와《삼국유사k》의 편찬은 신라 역사문화에 대한 고려 사람들의 지속적인 관심을 반영합니다. 이러한 관심은 조선시대에도 계속되었습니다. 조선 후기 실학자들은 우리 역사문화의 실상을 철저한 고증을 통해 이해하고, 그 속에서 우리 전통문화의 원형을 찾아내려고 하였습니다.
하지만 조선 후기의 역사학자들이 고조선과 고구려를 중심으로 우리 역사문화의 연원을 찾아나가면서 신라 역사문화에 대한 연구는 제대로 밝혀지지 못한 채 진전을 이루지 못하였습니다. 이후 신라사는 조선을 식민 지배하였던 일제의 의해서 다루어지게 되었습니다.
일제강점기에 일본인 학자들은 근대적인 연구방법을 동원해 한국고대사 가운데 특히 신라사 연구에 집중적으로 매달렸습니다. 신라사 연구는 일본인 학자들의 전유물이 되었고, 그들은 신라사의 각 분야에서 실증사학적 모델을 구축하였습니다. 이러한 성과는 신라사 연구에 근대적 초석을 놓았지만, 한국인 학자들의 학문적 견제가 부족한 상태에서 아전인수적 태도를 거침없이 자행하기도 하였습니다. 이러한 연구 태도 때문에 신라 역사문화에 대한 연구는 해방 이후에도 고구려․백제의 연구에 비하여 점차 주목받지 못한 채 간신히 명맥만을 유지하고 있는 형편입니다.
신라는 한국 역사와 문화의 원형을 간직하고 있습니다. 한국고대사 연구에서 신라사 연구가 중요한 점은 바로 이 때문입니다. 한국 역사문화의 원형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일제에 의해서 왜곡된 신라 역사문화의 실상을 온전히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에 신라사학회는 일제강점기 일본인의 신라사 연구를 주제별로 살펴 종합적인 이해를 구하고자 '일제강점기 일본인 학자의 신라사 연구에 대한 검토’라는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합니다.
초대하오니, 부디 참석하셔서 학술대회를 더욱 빛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09년 9월 일
신 라 사 학 회 장 김 창 겸 올림
<학술대회 일정>
# 등 록 (10:30~11:00)
사 회 / 이송란(덕성여자대학교 교수)
# 제1부 : 개회식 (11:00~11:20)
개회사 / 김창겸(신라사학회장,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콘텐츠편찬연구실장)
# 제2부 : 기조 발표 (11:20~11:50)
‘쯔다 소우키치[津田左右吉]의 망령이 만들어낸 민족’
발표 : 이종욱(서강대학교 총장)
# 점심시간 (11:50~13:00)
# 제3부 : 주제 발표 (13:00~16:30)
제1주제 발표 (13:00~13:30)
‘일제강점기 신라사 사료비판론의 전개 ―삼국사기 신라본기 초기기사를 중심으로’
발표 : 이부오(백석고등학교 교사)
토론 : 문창로(국민대학교 교수)
제2주제 발표 (13:30~14:00)
‘일제강점기 일본인 연구자의 신라 화랑 연구’
발표 : 조범환(서강대학교 박물관 연구교수)
토론 : 정운용(고려대학교 교수)
휴 식 (14:00~14:15)
제3주제 발표 (14:15~14:45)
‘일제강점기 일본인 연구자의 신라 불교 연구’
발표 : 판카즈 모한(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토론 : 김상현(동국대학교 교수)
제4주제 발표 (14:45 ~15:15)
‘일제강점기 고적조사 연구의 성과와 한계’
발표 : 차순철(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
토론 : 이순자(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책임연구원)
제5주제 발표 (15:15~15:45)
‘일제강점기 신라 금석문 연구’
발표 : 장일규(국민대학교 연구교수)
토론 : 권덕영(부산외국어대학교 교수)
휴 식 (15:45~16:00)
# 제4부 : 종합토론 (16:00~18:00)
좌 장 : 신형식(이화여자대학교 석좌교수)
참가자 / 발표자와 지정 토론자 전원, 방청객
<학술대회 장소 안내>
서강대학교 오는 길
지하철 2호선 신촌역 6번 출구 도보 5분
지하철 6호선 대흥역 1번 출구 도보 8분
버 스 110, 153, 604, 730, 5714, 7016, 7613
* 신라사학회(http://sillasa.koreanhistory.or.kr)
문의처: 016-254-8254(연구이사), 010-5234-8416(총무이사), 017-780-8813(회장)
학술대회>
학술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