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간학회 제1기 문자학 강좌
<문자의 문화사>
목간학회에서는 문자 자료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위해 문자학 강의를 개설합니다.
최근의 추세는 학문분야가 점점 세분화되고 논의 내용도 대단히 구체적인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한편 가까운 인접 학문 간에는 높은 벽이 쳐져 최소한의 소통마저 어려워진 형편입니다.
이런 문제를 조금이나마 해소하기 위해 문자를 여러 분야에서 조명하고,
또 긴 호흡으로 이해하기 위해 강좌를 준비했습니다.
이번
<문자의 문화사>
강좌는
문자가 형성되는 단계부터 한자의 발생, 한반도로의 전파,
그리고 그 변형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과정을 훑어보고자 합니다.
강의는 대학원 강의 수준으로 맞추어,
대학원생에게 다양한 문자학 학습의 기회를 주고
연구자에게는 인접학문과의 소통의 기회를 갖고자 합니다.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주제: 문자의 문화사
제1주 소리에서 문자로
강사: 김영욱 (서울시립대 교수)
일자: 9월 9일(화) 오후 6시 30분 ~ 8시 30분
제2주 한자의 탄생
강사: 김병준 (한림대 교수)
일자: 9월 23일(화) 오후 6시 30분 ~ 8시 30분
제3주 서체와 서법의 예술사
강사: 고광의 (동북아역사재단 부연구위원)
일자: 10월 7일(화) 오후 6시 30분 ~ 8시 30분
제4주 한자의 수용과 토착화
강사: 주보돈 (경북대 교수)
일자: 10월 21일(화) 오후 6시 30분 ~ 8시 30분
제5주 목간에 보이는 문자
강사: 윤선태 (동국대 교수)
일자: 11월 4일(화) 오후 6시 30분 ~ 8시 30분
제6주 이두의 세계
강사: 권인한 (성균관대 교수)
일자: 11월 18일(화) 오후 6시 30분 ~ 8시 30분
제7주 한국의 구결
강사: 정재영 (한국기술교육대 교수)
일자: 12월 2일(화) 오후 6시 30분 ~ 8시 30분
주최 : 한국목간학회, 동아시아학술원 동아시아학 BK융합사업단
장소 : 성균관대 31409 첨단강의실(퇴계인문관 4층 유동학부 행정실 입구)
문자의>
문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