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학회자료

삼국지 위지 동이전 한전 번역과 해설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1500
글 쓴 이 livemiri (2010-08-01 17:40:56, Hit : 0, Vote : 0)
연 결 #1 http://blog.paran.com/livemiri
제 목 삼국지 위지 동이전 한전 번역과 해설





삼국지 위지 동이전의 韓관련 부분은 판본에 따라 4단락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 4개로 구분된 단락이 진수가 삼국지를 편수할 당시의 원형을 그대로 전하는 것인지 알 길이 없지만, 필자는 한전의 내용을 단락이 구분되지 않는 연결된 문장으로 이해하고 있다.그래서 한전 진한전, 변진전, 변진전으로 구분되어 있는 것을 무시하고 전체적인 맥락을 파악해 본 것이다. 참고로 이 글은 필자가 예전에 행한 번역에 해설을 조금 가한 것이라고 보면 된다. 하나하나 문장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
1) <辰韓> 在 <馬韓> 之東, 其耆老傳世, 自言古之亡人避 <秦> 役來適 <韓國> , <馬韓> 割其東界地與之. <중간 생략> 名 <樂浪人> 爲阿殘 東方人名我爲阿, 謂 <樂浪人> 本其殘餘人. 今有名之爲 <秦韓> 者.

번역 // 진한은 마한의 동쪽에 있다. 늙은이가 세상에 전하기를 스스로 “옛날에 진역을 피하여 도망온 사람들이 한국에 왔다. 마한이 그 동쪽 경계의 땅을 그들에게 나누어 주었다.”고 말했다. <중간 생략> 낙랑인을 일러 阿殘(우리의 잔류자)이라 하는데, 동방인은 我를 일러 阿라 한다. 낙랑인은 본디 그 나머지 사람들(殘餘人)이라고 말한다. 지금 그들을 일러 秦韓이라고 하는 사람이 있다.

해설 // 진한이 성립되는 과정을 耆老의 입을 통하여 전하고 있다.



2) 始有六國, 稍分爲十二國. <弁辰> 亦十二國, 又有諸小別邑, 各有渠帥, 大者名臣智, 其次有險側, 次有樊濊, 次有殺奚, 次有邑借.

번역 // 처음 6국이 있었는데 작게 나뉘어져 12국이 되었다. 변진 역시 12국이다. 또 여러 작은 별읍이 있다. 각각 渠帥가 있어 大者는 臣智라 이르고, 그 다음은 險側이 있고, 다음은 樊濊 다음은 殺奚 다음은 邑借가 있다.

해설 // 진한과 변한이 각각 12개국임을 말하고 있다.



3) 有1 <已柢國> 2 <不斯國> 3 <弁辰彌離彌凍國> 4 <弁辰接塗國> 5 <勤耆國> 6 <難彌離彌凍國> 7 <弁辰古資彌凍國> 8 <弁辰古淳是國> 9<冉奚國>10 <弁辰半路國> 11 <弁樂奴國> 12 <軍彌國> 13 <弁軍彌國> 14 <弁辰彌烏邪馬國> 15 <如湛國> 16 <弁辰甘路國> 17 <戶路國> 18 <州鮮國> 19 <馬延國> 20 <弁辰狗邪國> 21 <弁辰走漕馬國> 22 <弁辰安邪國> 23 <馬延國> 24 <弁辰瀆盧國> 25 <斯盧國> 26 <優由國> <弁辰韓> 合二十四國, 大國四五千家, 小國六七百家, 總四五萬戶.

번역 // 1 <已柢國> 2 <不斯國> 3 <弁辰彌離彌凍國> 4 <弁辰接塗國> 5 <勤耆國> 6 <難彌離彌凍國> 7 <弁辰古資彌凍國> 8 <弁辰古淳是國> 9<冉奚國>10 <弁辰半路國> 11 <弁樂奴國> 12 <軍彌國> 13 <弁軍彌國> 14 <弁辰彌烏邪馬國> 15 <如湛國> 16 <弁辰甘路國> 17 <戶路國> 18 <州鮮國> 19 <馬延國> 20 <弁辰狗邪國> 21 <弁辰走漕馬國> 22 <弁辰安邪國> 23 <馬延國> 24 <弁辰瀆盧國> 이 있다.
25 <斯盧國> 과 26 <優由國> 인 弁辰韓은 합하여 24국이다. 큰 나라는 4,5천가이며, 작은 나라는 6,7백가로 모두 4,5만호이다.

해설 // 위 문장은 2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 문장을 보면, 주어가 생략되어 있으며, 有는 1 <已柢國> 부터 24 <弁辰瀆盧國> 까지 걸리는 서술어이다. 그래서 번역은 ‘1 <已柢國> 부터 24 <弁辰瀆盧國> 까지 24개 나라가 있다.’는 말이다. 이 24개 나라를 다스리는 사람이 바로 진왕(신라본기의 석씨왕)이다.

그리고 다음 문장은 ‘25 <斯盧國> 26 <優由國> <弁辰韓> ’을 주어로 하여 문장이 새롭게 시작한다. 斯盧國, 優由國이 바로 弁辰韓으로 표현된 실제의 나라이름이다.

優由國이 바로 삼국사기 초기기록에 나타나는 수로왕이 건국한 가야국을 말한다. 삼국사기 신라본기 나해이사금기를 보면 포상팔국전투가 기록되어 있는데, 이 전쟁이 바로 斯盧國과 優由國이 국운을 걸고 벌인 한판의 승부였다. 이 전쟁에서 패배한 優由國은 이제 역사에서 사라진다. 그래서 삼국사기에는 나해이사금기의 기록을 마지막으로 ‘伽倻’라는 나라가 더 이상 기록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신라의 주인이 석씨에서 김씨로, 미추에서 내물로 바뀌는 변혁기(4세기말)에 이들은 신라로부터 독립을 추구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황을 일본서기 신공섭정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其十二國屬辰王 辰王常用馬韓人作之 世世相繼辰王 不得自立爲王.{《魏略》曰: 明其爲流移之人,故爲馬韓所制。}

번역 // 그 12개 나라(其十二國)는 辰王에 속한다. 辰王은 항상 마한인을 써서 그 것(其十二國)을 맡긴다. (其十二國은) 세세토록 서로 辰王을 계승하며, 자립하여 왕이 되지 못한다. 위략에 이르길, 명확히 그는 流移之人을 다스린다. 고로 마한(人)이 제어하는 바가 되었다.[마한(人)의 제어를 받는다.]

해설 // 진한 지역의 12개국은 辰王(신라본기의 석씨왕)이 직접 다스리고 있음을 표현한 것이다. 그리고 낙랑지역에서 수많은 流移之人이 와있음을 알 수 있다.



5) <弁辰> 與 <辰韓> 雜居, 亦有城郭. 衣服居處與 <辰韓> 同. 言語法俗相似, 祠祭鬼神有異, 施灶皆在戶西. 其 <瀆盧國> 與 <倭> 接界.

번역 // 변진은 진한과 더불어 섞여 산다.(雜居) 또한 성곽이 있고, 의복거처가 진한과 더불어 같다. 언어 법속은 비슷하고 사제귀신은 다름이 있다. 부엌은 모두 집의 서쪽에 있다. 독로국이 왜와 더불어 경계가 접한다.

해설 // 雜居라는 표현을 통하여 변한과 진한은 하나의 나라임을 알 수 있다.




6) 十二國亦有王, 其人形皆大. 衣服絜淸, 長髮. 亦作廣幅細布. 法俗特嚴峻.

번역 // 12국 또한 왕이 있다. 사람의 형상은 모두 크고, 의복은 청결하며 머리가 길고, 또한 폭이 넓은 베옷을 만든다(입는다). 법속은 특히 엄준하다.

해설 // 왕이 잇다는 표현을 통하여 12개의 소국이 경상도 남부(가야지역)에 있다고 파악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파악은 잘못이다.

필자가 일본서기 신공섭정기를 분석하면서 몇 개의 인명을 언급하였다.

한 번 더 적어보면,

意富加羅國 + 王之子 + 于斯岐阿利叱智 + 干岐
(栲衾)新羅 + 王 + 宇流助富利智 + 干
卓淳 + 王 + 末錦 + 旱岐
加羅國 + 王 + 己本(이름) + 旱岐

‘王’이나 ‘王之子’인 사람들의 이름 끝에 있는 ‘干岐’ ‘干’ ‘旱岐’ 등이 바로 경주의 신라왕으로부터 받은 관등이다. 삼국지 한전의 표현도 변한지역의 12개국에 왕이 있다고 기록을 하였지만, 그 들(즉 ‘干岐’ ‘干’ ‘旱岐’ )은 진왕(신라본기의 석씨왕)이 임명한 지방관일 따름이다.








/////////필자가 번역한 한전의 일부
辰韓在馬韓之東,其耆老傳世,自言古之亡人避秦役來適韓國,馬韓割其東界地與之。有城柵。其言語不與馬韓同,名國爲邦,弓爲弧,賊爲寇,行酒爲行觴。相呼皆爲徒,有似秦人,非但燕、齊之名物也。名樂浪人爲阿殘;東方人名我爲阿,謂樂浪人本其殘餘人。今有名之爲秦韓者。始有六國,稍分爲十二國。弁辰亦十二國,又有諸小別邑,各有渠帥,大者名臣智,其次有險側,次有樊濊,次有殺奚,次有邑借。有已柢國、不斯國、弁辰彌離彌凍國、弁辰接塗國、勤耆國、難彌離彌凍國、弁辰古資彌凍國、弁辰古淳是國、冉奚國、弁辰半路國、弁樂奴國、軍彌國弁軍彌國、弁辰彌烏邪馬國、如湛國、弁辰甘路國、戶路國、州鮮國、馬延國、弁辰狗邪國、弁辰走漕馬國、弁辰安邪國、馬延國、弁辰瀆盧國。斯盧國、優由國、弁辰韓合二十四國,大國四五千家,小國六七百家,總四五萬戶。其十二國屬辰王。辰王常用馬韓人作之,世世相繼。辰王不得自立爲王。魏略曰:明其爲流移之人,故爲馬韓所制。土地肥美,宜種五穀及稻,曉蠶桑,作縑布,乘駕牛馬。嫁娶禮俗,男女有別。以大鳥羽送死,其意欲使死者飛揚。魏略曰:其國作屋,橫累木爲之,有似牢獄也。國出鐵,韓、濊、倭皆從取之。諸巿買皆用鐵,如中國用錢,又以供給二郡。俗喜歌舞飲酒。有瑟,其形似築,彈之亦有音曲。兒生,便以石厭其頭,欲其褊。今辰韓人皆褊頭。男女近倭,亦文身。便步戰,兵仗與馬韓同。其俗,行者相逢,皆住讓路。弁辰與辰韓雜居,亦有城郭。衣服居處與辰韓同。言語法俗相似,祠祭鬼神有異,施灶皆在戶西。其瀆盧國與倭接界。十二國亦有王,其人形皆大。衣服絜清,長髮。亦作廣幅細布。法俗特嚴峻。
/////////


지금까지 삼국지 동이전 한전에 대한 제대로된 이해를 하지 못한 상태에서 삼국사기의 초기 기록들은 부정되어졌다. 그러나 필자가 새롭게 번역해 본 삼국지 위지 동이전 한전의 관련기록은 삼국사기나 일본서기의 동일시기의 기록과 놀라울 정도로 정확히 일치하였다.






삼국사기 신라본기 유례이사금 11년조의 한 구절을 살펴보도록 하자. 참고로 유례이사금 11년은 서기 294년인데, 이 때 신라는 多沙郡을 가지고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 출처 : 진갑곤님의 삼국사기
○十一年夏, <倭> 兵來攻 <長峰城> , 不克. 秋七月, <多沙郡> 進嘉禾.
11년, 여름에 왜병이 장봉성을 공격하였으나 그들은 승리하지 못하였다. 가을 7월, 다사군에서 상서로운 벼이삭을 진상하였다.
///////



다들 多沙郡이 어디에 있는 곳인지 아시죠?






감사합니다.
다음에 계속,....
ver. 0. 000. gogo00^^






잡담 : 저는 오늘 저녁이나 내일 아침 일찍 시원한 곳으로 휴가를 떠날려고 합니다. 섬진강이 굽어보이는 조용한 계곡을 찾아가는 것도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 그 곳에 갈런지는 모르겠어요. ^^-----~~~~~~~~~`





출처 : http://www.history21.org/zb41/view.php?id=discuss2008&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763
목록